Logger Script

불교학과(2020학년도 이후)

금강대학교

학과소개

불교학과

금강대학교대학원은 2008년도에 사회복지불교학과(석사과정, 박사과정)로 개설되어 2017년도부터는 불교학과로 개칭하였으며, 2020년에는 심화전공으로 불교교학전공, 불교상담학 심화과정의 2개 전공으로 세분화 하였다. 이는 천태불교사상과 인간복지사상에 기초를 두고, 21세기 지속가능사회에 대응하기 위하여 '참된 인간성, 전문적 지식, 창조적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즉 지혜와 자비가 모두에게 차별 없이 충만한 이상세계의 실현을 위하여 불교복지철학과 인간존엄성의 윤리에 근거한 교육목적에 충실하고자 함이다. 따라서 불교학과의 전체적 교과과정에서는 천태불교사상을 비롯한 불교학의 전반적인 연구를 하게 되고, 심화전공에서는 불교교학, 불교복지상담학이 세부적으로 개설되어 개별 분야의 전문분야에 대하여 융합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특성화 하였다.


전공소개

불교교학전공

‘불교교학’이란 불교의 교리적, 사상적 측면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를 일컫는 말로서 전통적으로 ‘의학(義學)’으로 불리었던 분야이다. 불교교학 전공자는 불교의 역사적 전개 과정에서 생겨난 각각의 종파나 학파의 사상 체계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면서 ‘공’, ‘유식’, ‘연기’, ‘무애’, ‘원융’ 등 특정한 교리나 개념의 기원, 의미, 변화, 실천론적 함축 등을 폭넓게 탐구할 것이 요청된다. 아울러 불교교학 전공자들은 여러 교리나 개념들이 서로 어떻게 연관되는지, 다른 종파나 학파에서는 그것들에 대하여 어떻게 반응하거나 변용하였는지 등에 대해서도 살펴보게 된다. 불교교학은 대개 고전어에 대한 지식에 바탕하여 문헌학적, 철학적 방법론을 통해 연구되어 왔지만, 전통적인 방법론에만 국한되지 않고 현대사회의 대중을 위하여 불교의 교리를 보다 명료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 또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불교사상을 연구자 스스로가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그 성과를 연구자 집단 및 불교 공동체와 공유하는 것이 불교교학 전공의 목표이다.

불교상담학 심화과정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은 물질만능 문명의 극심한 사회변화 속에서 인간소외가 심화됨에 따라 개인의 정신건강 황폐화와 함께 가족의 해체, 사회구성원간의 의사소통적인 인간관계의 단절 등의 고통을 겪고 있다. 그로 인해 상당수의 현대인들은 다양한 인간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괴로움에서 자유로움을 구가할 수 있는 전문적 심리상담의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다. 이는 불교의 근본적인 실천원리인 고집멸도(苦集滅道) 사성제(四聖諦)에서의 인간심리 이해와 심리치유 접근과도 상통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대학원의 불교상담학 심화과정은 불교정신과 사상을 바탕으로 인문학 및 사회과학의 상관관계와 상통하는 원리들을 중심으로 인접 학문분야를 융합교육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대학원 과정(석사과정, 박사과정)에서는 불교상담 관련 학습을 기초로 인문학적인 연구와 세미나 방식으로 수업이 이루어진다.


불교학과 선수과목

선수과목 이수 대상자의 경우 본교 해당 학부/전공의 교과목 2개과목(6학점)이수를 원칙으로 한다.


불교학과 (불교교학, 불교상담학 심화과정) 석/박사 교육과정

불교교학전공, 불교상담학 심화과정(석/박사공통)
    • 가. 교육과정표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비고
전공 선택 BDS0001 정토사상1 3-3-0
BDS0002 정토사상2 3-3-0
BDS0003 여래장사상1 3-3-0
BDS0004 여래장사상2 3-3-0
BDS0005 대승경론1 3-3-0
BDS0006 대승경론2 3-3-0
BDS0009 중관사상1 3-3-0
BDS0010 중관사상2 3-3-0
BDS0011 범어불전1 3-3-0
BDS0012 범어불전2 3-3-0
BDS0013 티베트어불전1 3-3-0
BDS0014 티베트어불전2 3-3-0
BDS0015 천태사상1 3-3-0
BDS0016 천태사상2 3-3-0
BDS0017 화엄사상1 3-3-0
BDS0018 화엄사상2 3-3-0
BDS0023 동아시아 불교전통1 3-3-0
BDS0024 동아시아 불교전통2 3-3-0
BDS0027 법화사상1 3-3-0
BDS0028 법화사상2 3-3-0
BDS0029 법화현의1
BDS0030 법화현의2 3-3-0
BDS0031 법화경문1 3-3-0
BDS0032 법화경문2 3-3-0
BDS0033 법화수행1 3-3-0
BDS0034 법화수행1 3-3-0
BDS0035 한문불전1 3-3-0
BDS0036 한문불전2 3-3-0
BDS0037 학위논문연구 및 연구윤리(불교교학) 3-3-0
BC00001 상담윤리와 인간복지철학 3-3-0
BC00002 인간복지 상담이론과 기술 3-3-0
BC00003 절충통합 상담이론과 기술 3-3-0
BC00004 정신건강과 상담실천 3-3-0
BC00005 청소년심리와 청소년유해환경 3-3-0
BC00006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3-3-0
BC00007 불교인문상담 통계 및 자료 분석 3-3-0
BC00008 지속가능사회의 생명윤리학 3-3-0
BC00009 고급 상담이론과 실제 3-3-0
BC00010 학위논문연구 및 연구윤리: 불교복지상담학 3-3-0
BC00011 종교와 상담심리학 3-3-0
BC00012 불교와 인문철학상담 3-3-0
BC00013 불교와 인문윤리상담 3-3-0
BC00014 초기불전1 3-3-0
BDS0008 초기불전2 3-3-0
BC00016 선사상1 3-3-0
BC00017 선사상2 3-3-0
BC00018 불교인식논리학1 3-3-0
BC00019 불교인식논리학2 3-3-0
BC00020 유식사상1 3-3-0
BC00021 유식사상2 3-3-0
    • 나. 교과목 명칭변경 및 통합, 폐지교과목 지정
교과목 명칭변경
교과목 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번호 교과목명
BWC0001 사회복지윤리와 복지철학 BC00001 상담윤리와 인간복지철학
BWC0008 사회복지상담이론과 기술 BC00002 인간복지 상담이론과 기술
BWC0017 청소년 이해와 유해환경 BC00005 청소년심리와 청소년유해환경
BWC0022 사회복지통계 및 자료 분석 BC00007 불교인문상담 통계 및 자료 분석
BWC0026 불교와 상담심리학 BC00011 종교와 상담심리학
교과목 통합
불교교학전공 불교상담학 심화과정
교과목 번호 교과목명 교과목 번호 교과목명
BDS0007 초기불전1 BC00014 초기불전1
BDS0008 초기불전2 BC00015 초기불전2
BDS0019 선사상1 BC00016 선사상1
BDS0020 선사상2 BC00017 선사상2
BDS0021 불교인식논리학1 BC00018 불교인식논리학1
BDS0022 불교인식논리학2 BC00019 불교인식논리학2
BDS0025 유식사상1 BC00020 유식사상1
BDS0026 유식사상2 BC00021 유식사상2
폐지 교과목명
이수구분 교과목 번호 교과목명 학점
전공선택 BWC0002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보장 3-3-0
BWC0003 사회복지법과 제도적 실천 3-3-0
BWC0004 사회복지제도와 사회복지행정 3-3-0
BWC0005 사회복지시설 운영과 지도감독 3-3-0
BWC0006 사회복지상담척도와 평가 3-3-0
BWC0007 발달심리와 사회복지실천 3-3-0
BWC0009 죽음과 장묘복지실천 3-3-0
BWC0010 사회복지역사와 빈곤문제 3-3-0
BWC0011 장애인복지 이론과 실제 3-3-0
BWC0012 노인복지 이론과 실제 3-3-0
BWC0013 사회복지법제와 정책이행과정 3-3-0
BWC0014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3-3-0
BWC0018 저출산 고령사회의 인구교육 3-3-0
BWC0020 사회복지 질적연구 분석 3-3-0
BWC0021 사회복지 양적연구 분석 3-3-0
BWC0027 불교명상과 심리치료 3-3-0
BWC0028 대승불교와 상담심리학 3-3-0
BWC0029 임종과 불교호스피스 3-3-0
BWC0030 죽음철학과 불교상담 3-3-0
BWC0031 대승불교와 사회심리학 3-3-0
BWC0032 불교와 인문환경상담 3-3-0
  • 다. 교과목개요
정토사상1 (Pure Land Thought 1) 정토삼부경을 바탕으로 한 정토사상의 형성과 근본사상 및 그 수행체계 등에 관하여 1차 문헌을 강독하여 이해를 심화하고, 2차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한다.
정토사상2 (Pure Land Thought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정토사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법화사상1 (Lotus Sutra Thought 1) 대승불교사상의 홍포에 절대적인 기여를 하였으며, 천태종의 소의경전이 되기도 한 <법화경(法華經)>의 독특한 내용과 사상 등에 관하여 1차 문헌을 강독하여 이해를 심화하고, 2차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한다.
법화사상2 (Lotus Sutra Thought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법화사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여래장사상1 (Tathagata-garbha Thought 1) 중기 대승경론에서 모든 인간에게 깨달을 수 있는 가능성이 내재하고 있음을 천명하는 여래장사상의 이론체계에 관하여 1차 문헌을 강독하여 이해를 심화하고, 2차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한다.
여래장사상2 (Tathagata-garbha Thought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여래장사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중관사상1 (Madhyamika Thought 1) 반야사상과 <중론(中論)>을 중심으로 형성된 중관사상과 중관학파의 성립 그리고 그 특징적 사상 등에 관하여 1차 문헌을 강독하여 이해를 심화하고, 2차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한다.
중관사상2 (Madhyamika Thought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중관사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범어불전1 (Buddhist Texts in Sanskrit 1) 범어불전의 강독을 통하여 범어 독해능력을 함양하고 불교의 기본개념들에 대한 정확한 어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범어불전2 (Buddhist Texts in Sanskrit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범어불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티베트어불전1 (Buddhist Texts in Tibetan 1) 티베트어 불전의 형성과 불교교학체계 그리고 그 특징적 내용 등에 관하여 1차 문헌을 강독하여 이해를 심화하고, 2차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한다.
티베트어불전2 (Buddhist Texts in Tibetan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티베트어 불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천태사상1 (Tiantai Thought 1) 중국화된 불교사상인 천태사상의 역사와 그 사상체계의 특징 등에 관하여 1차 문헌을 강독하여 이해를 심화하고, 2차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한다.
천태사상2 (Tiantai Thought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천태사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화엄사상1 (Huayan Thought 1) <화엄경(華嚴經)>의 사상과 그것을 기초로 하여 수립된 중국적인 대승불교의 사상체계에 관하여 1차 문헌을 강독하여 이해를 심화하고, 2차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한다.
화엄사상2 (Huayan Thought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화엄사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법화경문1 (Explications of the Lotus Sutra 1) 천태대사가 <법화경>의 문구에 대해 인연석(因緣釋), 약교석(約敎釋), 본적석(本迹釋), 관심석(觀心釋)의 4종석을 사용하여 해석한 <법화문구(法華文句)>를 강독하여 경의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관심의 수행을 완성할 수 있게 한다.
법화경문2 (Explications of the Lotus Sutra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법화문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법화현의1 (Reading of the Fahua xuanyi 1) 천태대사가 <법화경>에 대해 명(名), 체(體), 종(宗), 용(用), 교(敎)의 5중현의(五重玄義)로 해석한 <법화현의(法華玄義)>를 강독하여 경의 깊은 뜻을 이해하고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보살도를 실천할 수 있게 한다.
법화현의2 (Reading of the Fahua xuanyi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법화현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법화수행1 (Practices of the Lotus Sutra 1) 천태대사가 <법화경>의 수행인 원돈지관(圓頓止觀)에 대해 설한 <마하지관(摩訶止觀)>을 강독하여 사홍서원(四弘誓願)의 발심을 하고 25방편(二十五方便)과 10승관법(十乘觀法)을 익혀서 법화수행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법화수행2 (Practices of the Lotus Sutra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마하지관>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한문불전1 (Chinese Buddhist Texts 1) 동아시아의 불교사상을 형성한 다양한 한문불전을 종합적이면서도 분석적으로 연구하는 교과목으로서 1차 자료인 경전, 논서, 주석서뿐만 아니라 해당 문헌에 대한 각종 연구 자료에 대해서도 폭넓게 다룸으로써 한문불전의 불교사상사적 의의를 심도 있게 이해한다.
한문불전2 (Chinese Buddhist Texts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한문불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대승경론1 (Scriptures and Treatises of Mahayana Buddhism 1) 대승불교 전통이 시작되면서 새로운 경전과 논서, 주석서 등이 출현하는데, 그 출현 배경과 의의, 사상사적 함축 등에 대하여 1차 문헌을 강독하여 이해를 심화하고 및 2차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한다.
대승경론2 (Scriptures and Treatises of Mahayana Buddhism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대승경론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동아시아 불교전통1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1) 한역 경전과 한자 문화권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동아시아 불교 전통에 대하여 '문화 접변'이라는 거시적 관점과 번역어 및 개념의 변화 등과 관련한 미시적 접근법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동아시아 불교전통2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동아시아 불교전통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학위논문연구 및 연구윤리 : 불교교학 (Dissertation Studies and Research Ethics: Buddhist Scholasticism) 경문 등 1차 문헌과 연구서 및 논문 등 2차 문헌을 검색하고 인용하는 방법 등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기본적인 연구방법론을 익히고, 연구자로서 가져야 할 연구윤리에 대하여 이해하며, 표절 방지 등 연구윤리를 준수하기 위한 글쓰기 요령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상담윤리와 인간복지철학 (Counseling Ethics and Welfare Philosophy) 이 교과목은 심리상담 전달체계 및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종사하는 상담사들이 전문직으로서 지녀야할 윤리와 복지적인 배경철학을 학습함으로써, 사회복지의 올바른 실천윤리를 정립하고, 나아가 인문철학 및 인간복지실천의 이념적 토대를 연구하고 토론한다.
인간복지 상담이론과 기술 (Human Welfare Counseling Theory and Skill) 이 교과목은 사회복지 현장에서 상담실천에 필요한 상담자의 역할과 내담자와의 관계, 상담기법 등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함으로써, 인간의 심리적인 변화를 사회환경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상담기법과 관련된 주요 이론들을 이해하고 각 심리이론에서 강조하는 상담방법과 과정들을 연구하고 토론한다.
절충통합 상담이론과 기술 (Eclectic and Integrated Counseling Theory and Skill) 이 교과목은 다양한 상담이론들의 장점을 통합(integration)하고 절충(eclecticism)하여 좀 더 완벽한 이론적 모형을 구축하고 좀 더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한 학파의 이론과 기술에 집착하기보다 다양한 상담이론을 통합적으로 연구하고 토론한다.
정신건강과 상담실천 (Mental Health and Counseling Practice) 이 교과목은 정신건강증진을 중심으로 한 사회복지실천 전반에 대한 임상적인 여러 이론과 개인, 가족, 집단 차원에서 사회복지실천 전략과 접근기법을 임상적인 시각에서 탐구하고, 나아가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모델의 가치와 철학, 사정과정, 실천과정을 연구하고 토론한다.
청소년심리와 청소년유해환경 (Adolescent Psychology and Harmful Environment) 이 교과목은 청소년심리, 문화, 복지와 보호 등과 관련된 이론을 이해하고, ​청소년상담현장에서 알아야 할 청소년 관련 실제에 대한 기초지식을 체계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학습하고, 나아가 청소년유해환경에 대한 분야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토론한다.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Family Counseling and Family Therapy) 이 교과목은 가족 대상의 사회복지실천방법 중 하나인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에 관한 이론은 물론 내담자 가족에 대한 사정과 개입 계획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실천 기술을 학습하고, 나아가 가족상담 전문가로서 가족체계이론에 입각하여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다루고 가족체계내의 상호작용을 개선하는 상담과정을 연구하고 토론한다.
불교인문상담 통계 및 자료분석 (Buddhist Humanities Counseling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이 교과목은 불교복지상담 분야의 다양한 사회문제와 관련된 자료들을 통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통계패키지들을 다루는 통계적 이론과 기법을 이해하고, 나아가 다양한 사회현상과 인간심리현상들을 대상으로 연구된 데이터 관리, 데이터 분석 및 이차자료들을 분석하고 토론한다.
지속가능사회의 생명윤리학 (Bioethics of Sustainable Society) 이 교과목은 기본적으로 21세기 생명과학시대에 즈음하여 생물학과 의학의 진보에 의해 야기된 새로운 상황과 지속가능사회의 달성을 위한 정치경제, 환경, 기업, 의료, 종교, 가족사회에서 대두되는 윤리적 이슈에 관하여 다루고, 특히 인간복지와 상관된 의료건강전문직과 정신건강전문직의 윤리기준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토론한다.
고급 상담이론과 실제 (Advanced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이 교과목은 기존의 상담심리학 이론들과 더불어 그 실천적 기술들을 소개하면서 고급 수준의 상담심리학 이론과 실제를 정립하기 위한 영역을 학습함으로써 상담가로서의 기본적 자질을 갖추게 하고, 정신역동주의 상담, 행동주의 상담, 인본주의 상담 및 실존주의 상담, 인지주의 상담은 물론 통합절충주의 상담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토론한다.
학위논문연구 및 연구윤리 : 불교복지상담학 (Dissertation and Research Ethics : Buddhist Welfare Counseling) 이 교과목은 복지상담학 석․박사과정에 학생 및 연구자들이 학위논문을 작성하고 간행하는 과정에서 간과할 수도 있는 저작권법, 인권 침해, 명예 훼손 등 관련 법률 조항의 적용과 관련된 연구윤리를 학습함으로써 연구윤리성을 갖추도록 하며, 나아가 학술지에 게재하는 과정에서도 준수해야 할 연구윤리를 탐구하고 토론한다.
종교와 상담심리학 (Religion and Counseling Psychology) 이 교과목은 종교가 우리의 마음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와 마음의 작용 방식을 바꾸는 방법에 대해 더 큰 관심을 갖고 현대 사회과학적 차원의 심리학과 상통하는 측면을 탐구하고, 나아가 정신역동주의 상담, 행동주의 상담, 인본주의 상담 및 실존주의 상담, 인지주의 상담은 물론 통합절충주의 상담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토론한다.
불교와 인문철학상담 (Buddhism and Humanities Philosophy Counseling) 이 교과목은 불교철학과 역사 등의 인문학에 대한 지식과 함께 상담교육능력을 갖추도록 학습하고, 나아가 상담기관이나 학교 및 평생교육기관, 인문교육기관 등에서 청소년, 성인, 노인 등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문학적 가치관 함양과 정서안정을 돕기 위해 인성상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운영 등의 인문철학교육 및 상담활동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토론한다.
불교와 인문윤리상담 (Buddhism and Humanities Ethics Counseling) 이 교과목은 불교윤리사상과 역사 등의 인문학에 대한 지식과 함께 상담교육능력을 갖추도록 학습하고, 나아가 상담기관이나 학교 및 평생교육기관, 인문교육기관 등에서 청소년, 성인, 노인 등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문학적인 인성 함양과 심리안정을 돕기 위해 인성상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운영 등의 인문윤리교육활동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토론한다.
초기불전1 (Texts of Early Buddhism 1) 빨리어, 한문, 산스크리트어, 등으로 기록하여 다양한 부파가 전승한 초기불교 관련 1차 문헌을 강독하여 이해를 심화하고, 2차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한다.
초기불전2 (Texts of Early Buddhism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초기불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선사상1 (Seon/Chan/Zen Thought 1) 불교수행법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선사상의 특징과 그 역사적 전개 등에 관하여 1차 문헌을 강독하여 이해를 심화하고, 2차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한다.
선사상2 (Seon/Chan/Zen Thought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선사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유식사상1 (Yogacara Buddhism 1) 동아시아의 불교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아비달마적 체계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유식관, 8식설, 삼성설 등을 통하여 그것을 재해석하고 있는 유식사상에 대하여 1차 문헌을 강독하여 이해를 심화하고, 2차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한다.
유식사상2 (Yogacara Buddhism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유식사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불교인식논리학1 (Buddhist Logic and Epistemology 1) 4~5세기경에 태동한 이래 수세기 동안 인도불교전통에서 존재론, 인식론, 논리학, 언어철학, 해탈론 등에 대하여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통찰을 제시한 불교인식논리학에 대하여 1차 문헌을 강독하여 이해를 심화하고 및 2차 문헌을 검토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한다.
불교인식논리학2 (Buddhist Logic and Epistemology 2) 추가적인 1차 문헌 강독과 2차 문헌 검토를 통하여 불교인식논리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TOP